분류 전체보기(23)
-
[코드스테이츠 PMB 7기] 프레시코드는 Growth Point를 찾았을까?
W4L1 해당 서비스는 과연 Growth Point를 찾았는가? (4200-6000자 미만) 평소 관심을 가지거나 자주 사용하던 제품/서비스를 선정하여 리서치한 후, 아래 질문에 대한 답을 포함하여 생각을 정리해주세요. - 프로덕트를 설명하고 사업전략을 토대로 어떻게 성장해왔는지를 설명해주세요. - 프로덕트의 가입부터 제품 구매(또는 사용)까지의 퍼널을 구분해주세요. (최대한 세분화) - AARRR 퍼널 단계별로 핵심지표를 높이기 위한 장치가 무엇이 있는지 분석해주세요. - 프로덕트는 앞으로 더 성장할 수 있을까요? 회사는 앞으로 더 성장할 수 있을까요? 어떻게 가능할까요? (1000자 미만) 결론적으로 "해당 서비스는 과연 Growth Point를 찾았는가?"에 대한 답을 작성해주세요. 단, 명확한 근..
2021.06.29 -
[코드스테이츠 PMB 7기] 오롤리데이의 행복지표
W3L2 핵심 성장 지표와 OKRs 설정하기 1. KPI를 설정하고 측정하는 데에는 다양한 지표가 활용됩니다. 어떠한 지표가 활용되는지 고민해보고 스스로 '지표 Dictionary'로 정리합니다. - ex) LTV, CPC, CPA, CPI, nCPA, nCPI, CAC 등 2. 비전에 공감하는 기업 1곳을 정한 후, 해당 기업의 핵심 성장 지표는 무엇인지 작성합니다. - ex) 회사는 ~ 인 상황이며 ~ 로 나아가고자 한다. 그러기 위해선 ~ 이 필요하기 때문에 ~ 를 추구 할 것이며, 이를 판단할 수 있는 평가 지표는 ~이다. 3. 위 기업에서 PM으로 일하게 되었습니다. 회사의 더 큰 성장을 위해 현재 추구하는 목표 외에 새로운 목표를 설정하고 달성해야 한다면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4. 해당 목표..
2021.06.25 -
[코드스테이츠 PMB 7기] LEE's OKRs
W3L2 (Essay) OKRs 만들어보기 (Personal) 나를 움직이게 할 수 있는 목표 설정 (최소 2가지 이상) 핵심 결과 지표 정하기 (3-5개) 단기 주요 활동 리스트 만들기 핵심지표 결과 추적하기 (*1주일 후 업로드 페이지에 업데이트) *실제 스스로를 개발할 수 있고, 실천 가능한 주요 활동 리스트를 기준으로 합니다. OKRs? 네이버 지식백과에 OKR을 검색하면 '인텔에서 시작되어 구글을 거쳐 실리콘밸리 전체로 확대된 성과관리 기법으로, 조직적 차원에서 목표(objective)를 설정하고, 결과를 추적할 수 있도록 해주는 목표 설정 프레임워크'라고 나온다. 심플하게 기억해보자면 목표, 목표달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지표 두가지로 이루어진 계획표인데 특이한 점은 목표를 설정할 때 통제불가능하..
2021.06.21 -
[코드스테이츠 PMB 7기] 트레바리의 PMF
W3L1 이 기업은 PMF를 찾았는가? (4200-6000자 미만) 평소 관심을 가지거나 자주 사용하던 제품/서비스를 선정하여 리서치한 후, 아래 질문에 대한 답을 포함하여 생각을 정리해주세요. 고객의 문제를 기존과 다르게 어떻게 새롭게 정의했는가 기존에 존재하던 해결 방식을 새로운 기술과 방식을 통해서 어떻게 해결하는가 여기서 고객이 사랑할 수 밖에 없을 정도로 충분한 고객가치를 만들어내는가 기업은 해당 고객을 통해 어떻게 수익을 창출해내고 있는가 (Business Model & Pricing) 그 문제를 가지고 있고 그 해결책을 좋아할 수밖에 없는 고객이 얼마나 많은가 이 모든 것들을 해내는 데 있어서 다른 경쟁자들이 쉽게 카피할 수 없는 차별적인 경쟁우위가 있는가 결론적으로 "해당 서비스는 과연 P..
2021.06.21 -
[코드스테이츠 PMB 7기] 당신 근처의 따뜻한 직거래 앱
W2L2 20XX년, 카카오 재직 당시 사내 게시판에서 직원간 중고 거래가 활발하게 이뤄지는 걸 보고 아이디어를 얻은 김용현 대표. 처음엔 직장인 앱인 '블라인드’처럼 판교 테크노밸리 회사원들만 쓰던 서비스였는데, 판교 주민들로부터 ‘우리도 쓰게 해달라’는 문의가 많아 앞으로 방향성을 어떻게 잡아야 할지 고민이다. 일단 직원 이메일 인증을 없애고 휴대폰 GPS를 통한 동네 인증 시스템을 도입한 후 점차 각 지역으로 확장해 나가야 할 것 같은데, 시작을 어디서부터 어떻게 해야 할까 막막하다. "당근이세요?" 당근마켓을 상징하는 문장인 것 같다. 너무너무 귀엽고 정감이 간다. 당근마켓만의 귀여움이 참 호감이지만 사실 나는 한번도 써본적이 없다. 당근마켓이 막 시작할 때를 되짚어 가며 역기획을 해보고 이렇게 ..
2021.06.16 -
IT지식이 필요한 비전공자가 접니다.
무엇이든 새로운 지식이나 도구를 접하게 되면 적응기가 필요하다. 내가 젓가락이라는 도구를 처음 접하고 사용하기 시작했을 때 포크처럼 꽂는 도구인지, 무언가를 휘젓는 도구인지, 양손에 한쪽씩 잡고 사용하는 건지 몰랐을 수 있다. 다만 나보다 먼저 이 도구를 사용해본 사람들이 하나씩 차근차근 알려주고, 내가 그들이 하는 행동을 따라하고, 스스로 연습하고 실생활에 활용하면서 사용방법을 적응해 나갔을 거다. 아주 어렸을 때부터 우리는 무언가를 학습할 때 단계적으로 배워나가고 체화하면서 터특해왔다. 그런데 IT 서비스에 대해 관심이 생긴 지금. 새롭게 IT 지식을 습득해보려해도 쉽지가 않다. 이유를 찾아보면 3가지로 정리할 수 있을 것 같다. 첫번째로는 개발자이거나 업계관계자가 아닌 이상 IT에 대해 알아야만 하..
2021.06.16